20년 이상의 기분장애 연구로
국내 정신건강의학계의 권위자로 인정받는 명의가
전문적인 지식과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여 최적의 치료를 제공합니다.
대표원장 | 의학박사 우 영 섭
약력
의학박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졸업(의학사, 석사, 박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전공의 수료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임상강사(2005-2007)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교수(2007-2011)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과장(2020-2023)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교수(2011-2024)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기분장애 약물치료 연구소 연수(2015)
학회, 학술 및 기타 활동
현) 대한정신약물학회 총무이사
현) 대한우울조울병학회 학술이사
현) Korean Bipolar Disorder Forum 회원
현)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cience 저널 편집위원
현) Mood and Emotion 저널 편집위원
현) 한국형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실무위원
현)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실무위원
현) 대한정신약물학회 성인 ADHD 연구회 회원
EBS 명의 출연 (2024, “지금, 우울하신가요?”등 2회 출연)
헬스조선 <명의> 등록(2025)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정보이사, 총무이사
대한정신약물학회 정보이사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연구윤리심의위원회 위원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데이터심의위원회 위원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 센터장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약사심의위원회 위원
영등포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남서지부학회 회장
근로복지공단 서울남부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 위원
SCI급 논문 100여편 포함 국내외 논문 200여편 발표
우울장애 디지털 치료제 연구 등 30건 이상의 임상 연구 수행
수상 내역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젊은연구자상(2009)
대한정신약물학회 젊은연구자상(2011)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신진의학자상(2013)
대한우울조울병학회 학술상(2016)
대한정신약물회 오츠카 학술상(2017)
저서
자살예방을 위한 임상적 평가와 관리(학지사 2013,공통저자)
정신의학과 진단의 핵심: DSM-5의 변화와 정점에 대한 대응(시그마프레스 2014, 공통저자)
임상신경정신약물학교과서 제2판(시그마프레스 2014, 공동저자)
양극성장애 교과서 제2판(시그마프레스 2014, 공동저자)
의사가 알아야 할 통계학과 역할(황소걸음아카데미 2015, 공동저자)
스포츠 정신의학: 최고의 경기력과 인생의 균형을 위한 전략(시그마프레스 2015, 공동저자)
학교정신건강: 세계적 도전과 기회(시그마프레스 2017, 공동저자)
Understanding Depression Volume 2. Clinical manifest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Springer 2018, 공동저자)
우울증 교과서 2판(시그마프레스 2018, 공동저자)
양극성장애 교과서3판(시그마프레스 2019, 공동저자)
임상신경정신약물학 교과서 3판(시그마프레스 2019, 공동저자)
조울병에 대한 거의 모든 것: 37인의 전문가와 함께 하는 조울병 극복 전략(시그마프레스 2021, 공동저자)
치료지향성 우울증 환자 진료를 위한 심플 가이드 (씨드커뮤니케이션 2022, 공동저자)
양극성장애 교과서 4판 (군자출판사 2024, 공동저자)
명예교수 | 의학박사 박 원 명
약력
의학박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석사, 박사)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임상강사/전임강사 (1991-1993)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 (1993-2005)
미국 Harvard Univ. McLean Hospital, 조울병 및 정신증
(Bipolar Disorder & Psychotic Disorders) 프로그램 방문교수 (1998~1999)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임상과장 (2009-2019)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홍보위원회 위원장 (2010-2013)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정교수 (2005~2025)
학회, 학술 및 기타 활동
Korean Bipolar Disorders Forum(KBF) 대표 (2005~현재)
양극성장애 교과서 초판 및 2판, 3판, 4판 편찬위원장 및 대표저자 (2007~현재)
우울증 교과서 초판 및 2판, 3판 편찬위원장 및 대표저자 (2011~현재)
임상신경정신약물학 교과서 2판 및 3판, 4판 편찬위원장 및 대표저자 (2013~현재)
Editorial Board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2016~현재)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상임집행위원장 및 고문 (2017~현재)
대한정신약물학회 상임집행위원장 및 고문 (2018~현재)
대한우울조울병학회/대한정신약물학회 성인 ADHD TF 총괄위원장 (2007~현재)
정신건강의학 전문매거진 “Mind Up” 편집위원장 (2019~현재)
한국형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프로젝트(KMAP-BP) 총괄위원장 (2001~현재)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프로젝트(KMAP-DD) 자문/조정위원장 (2020~현재)
정신질환 신약 개발을 위한 40여 차례의 국제 2상과 3상 임상 연구 참여 및 60개 이상의 국내 기분장애와 임상정신약물 연구 프로젝트 주관 (2001~현재)
한국일보 의학분야 고정 칼럼니스트 (2004)
영국 SACOOR Medical Group에서 ‘전 세계 양극성장애 분야 Key Opinion Leaders’로 선정(2006)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이사장/회장 (2009~2017)
대한정신약물학회 이사장/회장 (2012~2018)
식품의약품안전청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전문가 (2010~2015)
국가보훈처 보훈심사위원회 비상임 정부위원 (2012~2015)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Korean Edition 편집위원장 (2012~2013)
World Journal of Psychiatry 국제학술지 표지인물 선정 (2016)
미국의학분야 평가기관인 ‘엑스퍼트스케이프’에서 ‘기분장애(우울증, 양극성장애) 분야 최고 전문가’로 선정 (2021)
EBS 명의 출연 (2011, “조울병: 날개없는 비상 그리고 추락”과 2024, “지금, 우울하신가요?” 등 2회 출연)
수상 내역
대한정신약물학회 제1회 학술상 수상 (2002)
가톨릭대학교 우수교원상 2회 수상 (2003, 2005)
대한신경정신의학회 GSK학술상 수상 (2004)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제1회 아스트라제네카학술상 수상 (2006)
대한정신약물학회지 화이자 최다논문 게재상 3년 연속 수상 (2005-2007)
중앙문화의학-대한정신약물학회지 최우수 논문상 (2009)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환인정신의학상 수상 (2009)
대한정신약물학회 공로상 수상 (2010)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의학상 수상 (2013)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동화의학상 수상 (2014)
대한정신약물학회 오츠카학술상 수상(KMAP-BP 실무위원회 위원장) (2016)
대한정신약물학회 공로상 수상 (2016)
대한정신약물학회 윤도준연구자상 수상 (2017)
대한우울조울병학회 평생공로상 수상 (2017)
대한정신약물학회 공로상 수상 (2018)
대한우울조울병학회 GSK학술상 수상(KMAP-DD 실무위원회) (2018)
대한정신약물학회 오츠카학술상 수상 (2020)
대한민국 녹조근정훈장 수상 (2021)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창립 20주년 특별공로상 (2022)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창간 20주년 공로상 (2023)
대한정신약물학회 오츠카학술상 수상(성인 ADHD TF 총괄위원장) (2023)
대한우울조울병학회 명예의 전당 제1호 헌액 (2025)
주요 저서
한국형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지침서 (중앙문화사, 2002, 대표저자)
신경정신의학 교과서 제2판, 3판 (iMiS 출판사, 2005, 2017, 공동저자)
양극성장애 교과서 제1판, 2판, 3판, 4판 (시그마프레스/군자출판사 2009, 2014, 2019, 2024, 대표저자)
임상신경정신약물학 교과서 제2판, 3판, 4판 (시그마프레스/군자출판사 2014, 2019, 2025, 대표저자)
조울병으로의 여행, 기분이 불안정한 당신을 위하여 (시그마북스, 2015, 대표저자)
Understanding Depression Volume 2. Clinical manifest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Springer 2018, 공동저자)
우울증 교과서 제1판, 2판, 3판 (시그마프레스/군자출판사 2012, 2018, 2023, 대표저자)
조울병에 대한 거의 모든 것: 37인의 전문가와 함께 하는 조울병 극복 전략 (시그마프레스 2021, 대표저자)
치료저항성 우울증 환자 진료를 위한 심플 가이드 (씨드커뮤니케이션 2022, 대표저자) 등 30편의 저서 출판
주요 번역서
양극성 장애 극복 가이드-조울병 치유로 가는 길 (시그마프레스 2014, 대표저자)
자살예방을 위한 임상적 평가와 관리 (학지사 2013, 대표저자)
조울병 환자의 가족으로 살아가는 법 (시그마프레스 2014, 대표저자)
정신의학적 진단의 핵심: DSM-5의 변화와 쟁점에 대한 대응 (시그마프레스 2014, 대표저자)
의사가 알아야 할 통계학과 역학 (황소걸음아카데미 2015, 대표저자)
스포츠 정신의학: 최고의 경기력과 인생의 균형을 위한 전략 (시그마프레스 2015, 대표저자)
학교 정신건강: 세계적 도전과 기회 (시그마프레스 2017, 대표저자) 등 8편의 번역서 출판
주요 논문
Therapeutic Efficacy and Safety of Memantine for Children and Adults With ADHD
With a Focus on Glutamate-Dopamine Regulation: A Systematic Review(J Clin Psychiatry, 2025) 등
SCI 논문 196편 포함 국내외 논문 594편 발표
진료안내
우영섭 대표원장
월 요 일
오전 8시 30분 ~ 오후 5시 30분
화/수/금
오전 9시 30분 ~ 오후 6시 30분
점 심 시 간
오후 1시 30분 ~ 오후 2시 30분
토 요 일
오전 9시 30분 ~ 오후 1시 30분 (점심시간 없음)
목요일, 공휴일, 일요일 휴진
박원명 명예교수
월 요 일
오전 8시 30분 ~ 오후 12시 30분
목 요 일
오전 8시 30분 ~ 오후 4시 30분 *점심시간: 12:30~13:30
토 요 일
오전 9시 30분 ~ 오후 1시
화/수/금요일, 공휴일, 일요일 휴진
100% 예약제
첫 방문 시 참고해주세요
- 초진 내원 시 실물 신분증을 지참해주시기 바랍니다.(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학생증, 청소년증, 장애인 등록증 등)
- 미성년자의 경우 만 16세 이상부터 진료 가능합니다. 내원 시 본인의 신분증 혹은 보호자 신분증 및 가족관계 증명서를 지참해주시기 바랍니다.
- 타 병원 진료 경험이 있을 경우 초진 내원 시 타 병원 진료 기록이나 처방전이 있으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 자동차보험 환자는 진료가 어렵습니다.

문의 및 진료 예약

Tel. 02-6952-7571

오시는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3로 36, 601호(여의도동, 리버타워)

대중교통

여의도역 5번 출구 261, 영등포11, 7007-1

여의도역 6번 출구 162, 5012, 5618

샛강역 1번 출구 영등포11, 261,

샛강역 3번 출구 162, 503, 영등포 10

샛강역 4번 출구 5618